21세기 종합물류시대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겠습니다.

고객의 꿈과 행복을 함께 만들어가는 기업

공지사항

부산 공동어시장-국제수산물도매시장 통합 밑그림
 제목 :  부산 공동어시장-국제수산물도매시장 통합 밑그림
작성자 : 창고협회 / 2012-02-09

수산물유통공사(가칭) 설립해 산지시장 활성화

- 시·기존 수협 공동 출자방식
- 공기업으로 2곳 기능 조정
- 불필요 경쟁·중복투자 방지

지역 수산업계의 최대 관심사인 부산공동어시장(공동어시장)과 부산국제수산물도매시장(도매시장) 통합 추진의 밑그림이 잡혔다. 산지시장 활성화 등을 위해 공기업인 (가칭)부산시수산물유통공사를 설립해 두 시장을 운영·관리하고 이를 "남항 국제수산관광단지" 조성 기본계획 용역에도 반영하는 것이다.

부산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감천국제수산물도매시장과 부산공동어시장 통합추진 자문연구-부산시 수산물 산지시장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최종보고회를 갖고 조만간 설명회를 열어 의견수렴에 나서는 등 통합 작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산지시장 활성화에 방점

수산물 산지시장 활성화의 기본 방향은 공동어시장의 도심형 산지복합유통센터화와 도매시장 간 상생 구조를 만드는 것이다.

KMI는 "부산시수산물유통공사"가 공동어시장과 도매시장을 통합 운영·관리해 두 시장의 기능을 조절하고 불필요한 경쟁과 중복 투자를 방지해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최적안으로 제시했다.

이러한 기능적 통합, 공기업의 시장 통합관리를 위해선 공동어시장 청산, 부산시와 기존 공동어시장 운영 5개 수협 공동 출자 방식의 지방공기업 설립, 공기업의 공동어시장 인수(소유권 이전), 지방공기업에 시장의 관리 위임이란 절차를 거치게 된다. KMI는 지방공기업의 출자 구조로 부산시 51%, 기존 수협 49%안을 제안했다.

공동어시장 이주학 전무는 "어시장을 운영하는 5개 수협별 입장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등 급변하는 환경에 대처하고 두 시장의 기능 재배치, 공동어시장의 시설 현대화 등을 위해 두 시장의 통합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폭넓게 형성돼 있다"고 전했다. 그는 또 "두 시장의 통합안이 처음 불거졌던 2009년 당시와 지금은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고 덧붙였다.

■두 시장 통합 왜 하나

공동어시장은 국내 최대 산지 어시장, 국내 유일의 근해 업종 전문 양륙시장으로 자리잡았고, 2008년 문을 연 도매시장은 수입수산물, 원양수산물의 원-스톱 양륙시장으로 구축돼 있다.

하지만 공동어시장 운영 주체는 부산시수협과 대형선망수협, 대형기선저인망수협, 경남정치망수협, 서남구수협 등 5개 수협이어서 시장 기능 개선과 시설 투자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기 어려운 데다 신규 시설 투자의 여력도 없다. 시설 개선을 위해 운영 수익을 적립하지 않고 위판조성금 등으로 5개 수협이 배분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종전에 공동어시장에서 처리하던 대형선망과 대형트롤 등 일부가 도매시장쪽으로 뱃머리를 돌리는 등 두 시장의 고유 기능도 뒤섞이고 있어 불필요한 경쟁과 중복 투자 발생 여지가 많고, 근해와 수입·원양수산물의 고유 영역 구분 역시 모호해지고 있다. 두 시장 기능의 전면 재검토와 산지시장 활성화 필요성이 대두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 공동어시장은 바닥 작업, 수작업 선별, 경매, 재포장, 반출 등 낙후된 위판 시스템과 취약한 품질위생 관리체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공동어시장 시설 현대화 또는 리모델링을 통한 현대적 시장으로의 변화와 두 시장의 상생을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여기서 비롯됐다.

이전글 다음글 리스트 답글
TOP